찰나의 반복을 꿰뚫어 친구 만들기

우리는 모든 것을 자꾸만 짧게 보려 한다. 유튜브에 자리 잡은 ‘Shorts’ 탭과 인스타그램의 ‘릴스’는 ‘탐색/검색’ 탭보다 앞서 자리를 대신했다. 무시간의 시대에서 어떤 것의 하이라이트만을, 짧게, 반복해서 본다는 것은 현시대에 무슨 의미를 가질까. 또 그러한 특성을 가진 것은 무엇이 있을까. GIF(움직이는 짤방)은 이러한 현상의 농축된 에센스 같은 것이라 본다. 움짤은 보통 영상의 하이라이트를 효율적인 방법으로 저장할 때 사용된다. 원본 영상의 창작자가 아닌 제삼자가 하이라이트라고 느끼는 순간을 따와 만든 이 파일은 피드를 유영하고 빛나며 때로는 있을 자리를 잃은 채 사라진다. 이 움짤들은 불연속적인 찰나로 구획되며 우연적인 순간의 왕복으로 공유된다. 이를 바탕으로 구축된 세계를 사는 우리는 그저 찰나의 반복에 사는 것일까?

나는 이러한 GIF의 디지털 움직임에서 시지각적 운동성을 포착하고 회화적 움직임으로 변환한다. 내가 회화의 대상으로 선택한 것들은 나에게 익숙하며 (신체적, 감정적) 해를 끼치지 않는 것들이다. 곁에 두고 볼 수 있어 자주 만날 수 있는 것들. 때로는 어린 시절의 할머니의 무릎을 베고 보던 주말 디즈니 만화동산의 추억을 그리워 한다. 아무런 해도 가하지 않을 것 같았던 ‘친구’와도 같았던 대상은 파스텔빛 구름처럼 영원히 지속될 것만 같았다. 이제는 모두가 알겠지만, 그 대상들은 허상이다. 마냥 행복했던 것만 같았던 어린 시절 또한 사실은 예쁜 포장지로 둘러 쌓인 혼란일 뿐이다. 나는 그 이상한 향수를 다시 한번 불러일으켜 그 대상을 직시하고자 한다. 이 중에서도 내가 집중하는 것은 ‘대상이 움직인다’는 사실이다. 이 대상이 가진 유구한 역사보다는 대상이 어떤 행위를 반복한다는 사실만이 나를 흥미롭게 만든다. 나는 매일 움직이는 것들을 보며 그림을 그리는데, 내가 그리는 그림은 정지 상태로 보인다는 그 격차가 나를 계속 움직이게 만든다.

양면성을 가진 것들의 격차를 숨기지 않고 드러내고자 한다. 움직이는 디지털 파일(GIF)과 고정된 회화, 어릴 적 이상하리만큼 고취된 가족성과 지금의 1인 가구시대, 늘 발랄할 것만 같은 캐릭터들과 그들이 주입시키는 가치관 등을 내 몸을 통해 화면으로 옮겨내고자 한다.

내 그림은 붙잡히지 않는 순간에 관한 기록이다. 나의 몸이라는 필터를 통과한 물감이 캔버스와 만나는 순간, 만질 수 없던 존재들은 마침내 현실 세계로 밀려온다. 이를 위해 나는 물감이 채 마르기 전에 그들이 지나간 자리를 따라 손과 붓으로 만져보다가 이내 오일바로 그들의 외각을 따라 선을 그려보기도 한다. 어떤 경우에는 그들이 있던 자리를 캔버스 면이 보이게 지워내거나 만화적 선을 빌려오기도 한다. 다양한 재료와 회화적 장치의 사용은 캔버스 속에 또 다른 시간과 공간을 재창조한다. 이로써 짧은 동작을 반복하며 한평생을 살아가는 대상에게 머물 자리를 만들어준다.